2025. 7. 12. 13:13ㆍ산업재해보상
서론
직장인이 회사를 그만두거나 산재보상을 받을 때,
“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인가요?”라는 질문은
결국 ‘기준이 되는 임금’이 무엇이냐로 귀결된다.
하지만 근로기준법에는 두 가지 다른 개념의 임금이 존재한다.
바로 **‘평균임금’과 ‘통상임금’**이다.
이 둘은 계산 방식도 다르고, 적용 범위도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
잘못 이해하면 보상금이 수백만 원씩 차이 날 수도 있다.
이 글에서는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개념을 비교하고,
각각이 어디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명확하게 정리하여
근로자가 불이익 없이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실전형 콘텐츠를 제공한다.
평균임금이란?
“사고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 총액을
해당 기간 일수로 나눈 1일 평균 금액”
📌 법적 근거: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6호
- 계산 방식:
3개월 급여 총액 ÷ 총 일수(출근일 아님) - 포함 항목:
✔ 기본급
✔ 정기 상여금 (고정 비율)
✔ 연장·야간수당 - 제외 항목:
✘ 식대, 실비변상성 수당
✘ 비정기 보너스
📌 산재보상, 퇴직금, 유족급여, 장해급여 등의 기준
통상임금이란?
“정기적·일률적·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”
📌 법적 근거: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
- 계산 방식:
월 기본급 + 고정수당 ÷ 월 통상근로시간 - 포함 항목:
✔ 기본급
✔ 고정수당 (직책수당, 정액 교통비 등) - 제외 항목:
✘ 초과근무수당, 실적수당, 성과급
✘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
📌 연장근로수당, 연차수당, 야간·휴일수당, 모성보호수당 등의 기준
두 개념의 비교표
기준 기간 | 사고 전 3개월 | 1개월 기준 |
계산 단위 | 1일 평균 | 1시간 단가 |
포함 항목 | 고정 + 일부 비고정 수당 | 고정 항목만 |
적용 제도 | 퇴직금, 산재, 휴업급여 | 연장근로수당, 연차수당 |
변동성 | 시기에 따라 달라짐 | 거의 고정적 |
기준 성격 | 보상 목적 | 수당 산정 목적 |

실제 적용 예시
▶️ 평균임금 예시
- 3개월 급여 총액: 9,000,000원
- 총 일수: 90일
→ 평균임금 = 100,000원/일
→ 휴업급여 = 100,000 × 70% = 70,000원/일
▶️ 통상임금 예시
- 월 기본급 + 고정수당: 3,000,000원
- 월 근로시간: 209시간
→ 통상임금 = 3,000,000 ÷ 209 = 약 14,354원/시간
→ 연장근로수당 = 통상임금 × 1.5배
어떤 경우에 무엇을 쓰나?
✅ 산재보상 (요양·휴업·장해) | 평균임금 |
✅ 퇴직금 | 평균임금 |
✅ 유족급여 | 평균임금 |
✅ 연장근로수당 | 통상임금 |
✅ 연차수당 | 통상임금 |
✅ 야간·휴일근로수당 | 통상임금 |
✅ 육아휴직급여 | 통상임금 (단, 고용보험 기준) |
📌 보상금 → 평균임금, 근로수당 → 통상임금으로 기억하면 된다.
잘못 적용했을 때의 실제 문제
평균임금으로 수당 계산 | 수당 과다지급 → 사용자 손해 |
통상임금으로 산재보상 신청 | 보상금 축소 → 근로자 손해 |
평균임금 과소 신고 | 산재 시 휴업급여·장해급여 금액 축소 |
통상임금 축소 구성 | 연장수당 미지급 논란 발생 |
마무리: 기준을 모르면 보상은 줄어든다
‘임금’이라는 말 하나로 끝나지 않는다.
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보상과 수당은
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이라는 완전히 다른 기준에 의해 산정된다.
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면
불이익을 받아도 그 이유조차 모른 채 지나갈 수 있다.
근로자 스스로 이 두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
당신의 권리를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무기가 된다.
✔ 평균임금은 ‘보상’의 기준
✔ 통상임금은 ‘수당’의 기준
✔ 지금부터 헷갈리지 말자
'산업재해보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재 요양급여 신청 방법과 필요한 서류 – 근로복지공단에 제대로 신청하는 실전 가이드 (1) | 2025.07.11 |
---|---|
산재 요양급여 신청 방법과 필요한 서류 – 근로복지공단에 제대로 신청하는 실전 가이드 (1) | 2025.07.10 |
산재 장해등급별 실제 지급금 – 근로자는 몇 등급일 때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? (0) | 2025.07.09 |
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상의 종류 – 근로자가 받을 수 있는 7가지 보상금 (0) | 2025.07.08 |
사고 직후 수집해야 할 현장 증거 리스트 – 보상 받으려면 ‘그 순간’이 중요하다 (0) | 2025.07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