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재소송에서 정신적 손해배상 인정 사례 모음 – 위자료는 어떻게 산정되는가?
2025. 7. 4. 10:39ㆍ산업재해보상
서론
산업재해로 신체적 피해를 입은 근로자는 산재보험을 통해 치료비와 생계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.
그러나 사고로 인해 겪은 두려움, 수치심, 무기력감, 불안감과 같은 정신적 고통은 산재보험에서 보상받을 수 없다.
이러한 정신적 피해는 오직 민사소송을 통해 사용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해야만 인정받을 수 있다.
하지만 위자료는 감정적인 요소이기도 하기에 그 기준이 모호하다는 인식이 강하다.
이 글에서는 실제 법원에서 정신적 손해(위자료)를 인정한 사례들을 정리하여,
어떤 경우에, 얼마나, 어떤 사유로 위자료가 인정되는지 현실적인 기준을 제시한다.
정신적 손해배상, 왜 산재보험으로는 안 되는가?
- 산재보험은 사회보험의 일종으로서, ‘신체적·경제적 손해’를 보전하는 제도임
- 감정적 손해는 입증과 기준이 모호하므로, 산재보험 대상이 아님
✅ 정신적 손해는 사용자(회사)의 불법행위 책임을 묻는 민사소송을 통해서만 보상이 가능하다.
위자료 산정 시 고려 요소 (법원 기준)
요소설명
사고의 중대성 | 사망, 중상해, 후유장해 등일수록 금액 상승 |
사용자 과실 정도 | 고의, 중대한 과실, 안전조치 위반 등 |
피해자의 나이 및 직업 | 나이 어릴수록, 직업 피해 클수록 높음 |
사고 이후 정신적 후유증 | 우울증, 불안, 대인기피 등 진단서 제출 가능 여부 |
사과 및 조치 여부 | 회사의 사후 대응, 사과 여부, 보상 의사 등 고려 |
실제 위자료 인정 사례 모음
▶️ 사례 ① 사망 사고 – 유족에게 각각 위자료 인정 (서울중앙지방법원 2020)
- 사건 개요: 20대 근로자가 안전장비 없이 고소작업 중 추락 사망
- 법원 판단: 회사는 기본적인 안전수칙조차 지키지 않음 → 중대한 과실
- 결과:
- 부모 각 5천만 원
- 배우자 6천만 원
- 자녀 3천만 원
👉 총 위자료: 1억 9천만 원 인정
▶️ 사례 ② 장해 6급 부상 – 정신적 고통 인정 (부산지방법원 2021)
- 사건 개요: 근로자 손가락 3개 절단, 기능 제한 지속
- 피해자 주장: “외형 변화로 인해 사회생활 위축, 우울증 진단받음”
- 법원 판단: 사회적 기능 저하 및 심리적 상처 인정
- 결과: 위자료 3,000만 원 인정
▶️ 사례 ③ 허리디스크 수술 후 불안장애 발생 (수원지방법원 2019)
- 사건 개요: 지게차 작업 중 사고 → 디스크 수술 → 지속적 통증
- 추가 요소: 정신건강의학과에서 ‘불안장애’ 진단
- 결과: 장해급여 외 위자료로 1,500만 원 인정
▶️ 사례 ④ 폭발사고 후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(PTSD) (대전지법 2018)
- 사건 개요: 화학설비 폭발로 온몸에 화상 입은 근로자
- 의료기록: 장기 입원, 이식수술 반복, PTSD 진단서 첨부
- 법원 판단: 단순 상해를 넘는 심각한 심리적 고통 존재
- 결과: 위자료 5,000만 원 인정
▶️ 사례 ⑤ 중대재해 후 회사의 책임 회피로 인한 이중 고통 (인천지법 2022)
- 사건 개요: 공정 안전관리 미비로 인한 사고 → 손목 골절
- 회사 태도: 초기 부인, 형식적 사과, 재직 중 불이익
- 법원 판단: 사고 자체보다 사후 태도로 인한 정신적 피해가 더 큼
- 결과: 위자료 2,500만 원 인정
위자료 인정의 핵심 팁
팁설명
진단서 확보 | 정신과 또는 신경정신과 진료기록 필수 |
일상생활 변화 기록 | 이전과 이후의 삶 비교 가능하도록 정리 |
피해자의 진술서 | 감정적 고통을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설득력 있음 |
회사 태도 증거 | 회사가 사과하지 않았거나 책임 회피한 정황 강조 |
위자료 청구 전 체크리스트
- 정신적 후유증이 의학적으로 진단되었는가?
- 사고 이후 삶의 질이 객관적으로 나빠졌는가?
- 회사의 안전관리 미비 또는 태도에 문제가 있었는가?
- 산재 외 민사청구를 통해 보완이 필요한 손해인가?
마무리: 신체적 피해 외에도 정신적 고통은 정당한 손해다
산업재해는 단순히 몸이 다친 사고가 아니다.
근로자는 사고 이후 삶의 불안, 인간관계 단절, 수치심, 분노, 무기력 등 다양한 감정을 겪는다.
이러한 정신적 고통 역시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손해이며,
민사소송을 통해 그에 대한 정당한 위자료를 청구할 권리가 있다.
✔ 위자료는 마음의 상처에 대한 공식적 인정이다.
✔ 증거자료가 명확하면, 법원은 충분한 보상을 인정한다.
'산업재해보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산업안전법률] 사업주의 안전배려의무 인정 사례 vs 부정 사례 비교분석 (0) | 2025.07.05 |
---|---|
과실상계란 무엇인가? 근로자 책임이 있을 때 보상은 줄어드나? (1) | 2025.07.05 |
장해등급별 실제 사례 정리 – 어떤 장해에 몇 급이 인정되는가? (1) | 2025.07.03 |
장해등급 이의신청 절차와 전략 – 억울한 등급을 바로잡는 실전 가이드 (0) | 2025.07.03 |
산재 후유장해 신청 요령과 장해등급별 지급금 정리 – 근로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 (1) | 2025.07.03 |